반응형 경영.CEOCOACHING/경영자 예술1:1코칭2 인문학이란.진선미(+김상근교수의 CEO조찬회 강의 참조) https://youtu.be/yC5PO60jJeo인문학이란,인간의 변하지않는 가치 그리스에서 인문학이 탄생 플라톤이 지도자를 가르치기 위해 만듬. 역사 도덕적 판단을 내려야한다. 어떻게 말을 정확히 잘해야 하는가? 키케로의 인문학을 르네상스시대에 패트리로카가 문사철이 되었다. 인문학이 자기 자리를 찾아가고 있다. 내가 누군지?(진)아는 것이 인문학이 첫번째 과제다. 두번째 선에 대한 것이다 세번째는 우리의 미래는 어떻게 창조하고 것인가?이다. 키케로의 책을 통해서 하겠다. 마지막 미켈란젤로 호메로스의 첫 질문, 당신은 누구입니까? 장님이었지만 지혜가 최고였다. 이탈리아의 대 문호단테,호메로스에 그림자로 그려졌다. 호메로스의 첫 질문은 "당신의 미래는 어디로 가고 있습니까?" 일리아스(트로이전쟁:마음속에.. 2023. 7. 22. 박경리작가가 만나본 이건희의 인상,창조적 감상이 느껴지는 위대한 업적의 예술 CEO DNA 깊은 곳에 가라앉아서 세상을 응시하는 듯한 눈빛이였다. 웃는 모습은 스스러워하듯, 그러나 천진했다. 박경리작가가 96년 호암예술상을 받으며 처음 이건희 회장을 만났을 때의 인상이다. 수상을 계기로 삼성문화재단의 뚜렸한 지표,학술과 예술에 대한 이해와 애정을 느낄 수 있었으며, 실로 광범위한 문화 사업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수백억원의 예산과 100여명의 직원들이 활동한다는 재단의 규모에 놀라기도 했다. 욕망 살면서 어지러운 현실을 볼때에 사람의 욕망의 끝은 어디일까? 하고 자문할 때가 있다. 욕망은 삶의 불꽃같은 것이지만 지나치면 업화가 되어 몸을 태우고 파멸할 수도 있다. 그러나 나락과도 같은 곳에서 건져내 본연으로 회귀하게 하는 것이 문화예술의 역할이지않을까? 욕망이 빚어낸 혼란의 가닥을 .. 2022. 9. 1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